본문으로 건너뛰기

설정

File to DB 인터페이스 등록 절차는 아래와 같다.

1. 파일레이아웃 등록

File의 데이터를 Read하기 위해 파일레이아웃을 등록하고, 전문관리 > 전문레이아웃 등록화면을 이용한다. 파일레이아웃의 필드명과 SQL의 bind변수명이 같아야 한다.

파일 레이아웃에는 전달할 데이터 외에 처리구분 컬럼이 존재해야 한다. 처리구분 컬럼은 Target의 SQL을 구분할 컬럼으로, 처리구분컬럼의 값에 따라 수행되는 SQL은 아래와 같다.

노트
  • C: INSERT
  • U: UPDATE
  • D: DELETE

2. 인터페이스 등록

File to DB인터페이스 등록은 인터페이스 관리 > 배치인터페이스에서 등록한다. 인터페이스ID, 인터페이스명은 인터페이스를 식별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한다.

각 구성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구성항목

☑ 기본정보

  • 인터페이스방식 : File to DB
  • 에러정책 : 에러시 종료(Stop), 에러를 무시하고 이후 진행(Skip)에 대한 정책
  • 전후처리프로그램ID : 배치 수행전후에 실행할 커스터마이징 프로그램

☑ 스케줄정보

실행할 스케줄 정보. 해당 스케줄 정보는 노드관리 > 스케줄인스턴스관계정보에 등록되어야 실제로 실행된다.

☑ From To

  • 소스파일로컬여부 : FTP가 아닌 엔진이 설치된 위치에 있는 파일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
  • 소스FTP : FTP접속을 위한 정보
  • 소스파일 : 소스파일의 Full Path
  • 타겟데이타소스 : DB접속을 위한 데이터소스 정보
  • 커밋건수 : Select의 Fetch건수 및 커밋단위
정보

소스파일은 Path Expression을 통해 동적으로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 파일레이아웃정보

  • 소스파일레이아웃 : 파일레이아웃이 정의된 전문레이아웃ID. 파일레이아웃 작성 시 유의사항은 아래의 파일레이아웃 작성 유의사항에서 설명한다.
  • 데이터형식 : 파일의 형식. Fixed, JSON, Delimiter 형식을 지원한다.
  • 라인구분자 : 라인 구분 형식. 구분자없음, LF, CR+LF, 사용자정의 방식을 지원한다.
  • 레코드사이즈 : 각 데이터의 레코드사이즈. Fixed인 경우에만 등록한다.
  • 캐릭터인코딩 : 파일의 인코딩형식
  • 처리구분컬럼명 : Target테이블의 SQL을 구분할 컬럼으로, C/U/D값에 따라 SQL이 실행된다.

☑ SQL Query

전달된 데이터를 처리구분에 맞게 처리할 SQL을 등록한다.

File to DB 전문등록 예제

정보

DBMS별로 컬럼의 대소문자를 각기 다르게 인식함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Oracle은 반드시 대문자를 사용해야 하는 반면, Postgres는 소문자를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