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설정

이 장에서는 일괄전송 인터페이스 등록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기관과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기관과 사용할 일괄전송 프로토콜 정보, 송수신 파일 정보, 기관별 송수신 파일에 대한 일괄전송 인터페이스 정보를 정의해야 한다. 그리고 파일을 지정된 시간대 또는 반복적으로 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스케줄러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관에서 수신한 파일을 업무시스템에 전달 또는 가져오기 위한 FTP 정보를 등록한다.

1. 일괄전송 프로토콜 등록

일괄전송 프로토콜 등록은 앞에서 설명한 금융결제원 CMS 프로토콜, 은행연합회 프로토콜 및 기타 프로토콜에 대한 기본 정보와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전문에 대한 정보를 등록한다. 일괄전송 프로토콜 정보로는 기본 라우터와 프로토콜에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문 종류와 전문의 레이아웃 정보로 구성된다. 배치설정관리 > 일괄전송프로토콜정보 화면에서 등록하며, BXI가 제공하는 일괄전송 프로토콜은 미리 등록되어 있다.

구성항목

☑ 기본정보

  • 일괄전송 프로토콜ID : 일괄전송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ID로 임의의 규칙에 따라 등록한다.
  • 일괄전송 프로토콜명 : 일괄전송 프로토콜 명칭을 입력한다.
  • 프로토콜라우터 : 일괄전송 프로토콜의 최초 진입점에 사용될 라우터를 선택한다. 프로토콜 라우터는 BXI에서 제공하는 라우터내에서만 선택할 수 있다.
  • 공통헤더레이아웃 : 일괄전송 프로토콜의 공통부로 사용할 전문 레이아웃을 선택한다.
  • 공통헤더생성프로그램 : 공통 헤더를 생성하는 사용자 정의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 DB생성프로그램 : 파일을 송신하기 위해 파일 데이터를 DB에 저장할 사용자 정의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등록하지 않으면 BXI에서 제공하는 기본 DB생성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 파일생성프로그램 : 수신받은 파일을 업무시스템에 전달하기 위해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파일로 생성할 사용자 정의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등록하지 않으면 BXI에서 제공하는 기본 파일생성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 공통헤더 전문정보

공통 헤더 레이아웃으로 등록한 레이아웃의 각 항목의 의미를 정의한다. BXI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할 전문을 생성하거나 수신받은 전문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사용한다. 만약 전문정보에 등록된 정보로 전문을 생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공통헤더 생성 프로그램'에 등록된 사용자 정의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생성한다.

  • No : 공통헤더 레이아웃 등록 시 부여된 번호가 자동으로 출력된다.
  • 필드명 : 공통헤더 레이아웃에 등록된 필드명이 자동으로 출력된다.
  • 설명 : 공통헤더 레이아웃에 등록된 필드설명이 자동으로 출력된다.
  • 키워드필드명 : 해당 필드가 어떤 필드인지를 키워드 표에서 선택한다. 이 키워드를 이용하여 해당 필드의 의미를 파악하고 전문생성시 관련 데이터를 생성한다. 키워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키워드 표를 참조한다.
  • 기본값 : 전문을 생성할 때 사용할 기본값을 입력한다. 기본값은 전문 종류에 관계없이 항상 고정된 값인 경우에 등록한다.
정보

파일ID, 일자, 시간을 나타내는 키워드의 경우 기본값을 입력하지 않고 항목 데이터의 포맷만 입력하여 데이터를 생성 또는 분석할 때 데이터를 분리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파일ID 키워드

키워드 필드명이 파일ID인 경우에 파일명의 포맷을 기본값 항목에 사용할 수 있다. 파일명이 총 8자리이고 파일ID + 일자(MMdd) 형식인 경우 파일명에서 파일ID만 추출하도록 파일명의 포맷을 사용해야 한다.

예) ${FILE_ID:4}+${MMdd:4}

위와 같이 파일명 포맷을 등록하는 이유는 일괄전송 파일정보에는 송수신 파일명이 아닌 파일ID를 기준으로 정보를 등록하기 때문에 송수신 전문에서 파일ID만 추출해야 한다. 일괄전송 송수신 파일명과 파일ID가 동일하다면 등록하지 않아도 된다.

  • 일자 또는 시간 키워드

일자 또는 시간이 포함된 키워드(전문전송일시, 전송일자 등)의 경우 일자 포맷을 기본값 항목에 등록할 수 있다. 일자 포맷을 등록하면 자동으로 시스템 일자나 시간을 구하여 입력된 포맷으로 변경하여 전문을 생성한다. 시스템 일자나 시간을 사용하지 않고 업무에서 제공하는 일자나 시간인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일자 형식은 송수신할 전문의 일자나 시간 또는 일시 형식에 맞추어 등록하면 된다.

예) ${MMddHHmmss}

☑ 키워드

일괄전송 전문 레이아웃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키워드설명
업무구분코드JSON이나 XML 전문에서 사용할 필드의 엘리먼트명을 의미한다. 입력하지 않으면 필드명이 엘리먼트명이 된다.
기관코드/은행코드해당 필드가 기관코드 필드임을 의미한다.
자신의 기관코드해당 필드가 자신의 기관코드 필드임을 의미한다.
전문종별코드해당 필드가 전문의 종별코드 필드임을 의미한다.
파일ID해당 필드가 일괄전송 파일ID 임을 의미한다. 해당 필드가 파일ID인 경우에는 기본값에 송수신하는 파일명의 포맷을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송수신FLAG해당 필드가 송수신 FLAG 필드임을 의미한다.
응답코드해당 필드가 응답코드 필드임을 의미한다.
기준일자해당 필드가 기준일자 필드임을 의미한다.
전문전송일시해당 필드가 전송일시(mmddHHmmss) 필드임을 의미한다.
전송일자해당 필드가 전송일자(yyyyMMdd) 필드임을 의미한다.
전송시각해당 필드가 전송시간(HHmmss) 필드임을 의미한다.
전문추적번호해당 필드가 전문추적번호 필드임을 의미한다.
송ㆍ수신 업무구분코드해당 필드가 파일 송수신 구분 필드임을 의미한다.
블록번호해당 필드가 블록번호 필드임을 의미한다.
일련번호해당 필드가 블록의 일련번호 필드임을 의미한다.
레코드수해당 필드가 레코드 개수를 나타내는 필드임을 의미한다.
결번갯수해당 필드가 결번 개수를 나타내는 필드임을 의미한다.
결번확인해당 필드가 결번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임을 의미한다.
업무관리정보해당 필드가 전문을 식별하는 업무관리정보 필드임을 의미한다.
송신자명해당 필드가 송신자명 필드임을 의미한다.
송신자암호해당 필드가 송신자 비밀번호 필드임을 의미한다.
레코드길이해당 필드가 레코드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임을 의미한다.
데이터길이해당 필드가 한번에 전송하는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임을 의미한다.
파일사이즈해당 필드가 파일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필드임을 의미한다.
전문전송길이해당 필드가 한번에 전송하는 TCP 프레임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임을 의미한다.
총레코드수/송신집계내역해당 필드가 파일 전체 레코드 개수를 나타내는 필드임을 의미한다.
일괄데이터해당 필드가 파일 데이터 필드임을 의미한다.

전문정보

일괄전송 프로토콜의 기본정보를 등록한 후에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각각의 전문에 대한 정보를 등록한다. 프로토콜 전문 등록은 화면의 트리에서 등록하고자 하는 프로토콜에 마우스를 위치하고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프로토콜전문 등록을 선택하여 등록한다.

☑ 기본정보

  • 전문종별코드 : 일괄전송 프로토콜 전문을 식별할 수 있는 종별코드를 등록한다.
  • 전문레이아웃 : 일괄전송 프로토콜 전문에서 사용할 전문 레이아웃을 선택한다.

☑ 전문정보

일괄전송 프로토콜 전문정보는 일괄전송 프로토콜 정보에서 등록한 공통헤더 전문정보 등록 방법과 동일하다.

2. 일괄전송 파일 등록

일괄전송 파일은 기관과 송수신할 파일에 대한 공통 정보로 파일ID, 전송 데이터 길이, 레코드 길이, 레코드 구분자 등의 정보를 등록한다. 파일 정보가 없으면 일괄전송 처리가 불가능하므로 기관과 송수신하는 파일인 경우에는 반드시 등록되어야 한다. 파일ID는 프로토콜 전문상의 매일매일 변경되는 파일명이 아니라 일괄전송 파일을 구별하기 위한 ID이다.

구성항목

☑ 기본정보

  • 일괄전송파일ID : 일괄전송 파일을 식별하는 파일의 ID를 입력한다. 파일ID는 기관과 파일별로 정해진 이름이다.
  • 일괄전송파일명 : 일괄전송 파일의 한글명을 입력한다.
  • 적용일자 : 일괄전송 파일을 송수신할 적용일자를 입력한다. 입력된 일자 이후부터 해당 파일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당일 파일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일자를 입력해야 한다.
  • 데이터전송길이 : 송수신 시 한 번에 전송할 데이터의 길이를 입력한다. 동일 파일이지만 기관업무별로 데이터 전송길이 다른 경우에는 일괄전송 인터페이스 정의 시 재정의 할 수 있다.
  • 레코드길이 : 일괄전송 파일별 한 레코드의 길이를 입력한다.
  • 레코드구분코드 : 일괄전송 파일이 시스템 파일에 저장할 때 레코드를 구분하기 위한 값을 선택한다.
  • 송수신주기코드 : 일괄전송 파일의 송수신 주기를 선택한다. 단순히 정보성으로만 사용한다.

3. 일괄전송 인터페이스 등록

일괄전송 인터페이스는 크게 두 가지 정보를 등록한다. 하나는 일괄전송 업무를 처리할 기관업무 정보를 등록하는 것으로 프로토콜 정보에서 등록한 프로토콜을 할당하는 작업이다. 일괄전송 프로토콜 정보에서 등록한 공통헤더 레이아웃이나 프로토콜 전문의 레이아웃은 재정의 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일괄전송 파일 정보에서 등록한 일괄전송 파일을 송수신하는 기관업무에 할당하는 작업이다. 이렇게 할당된 파일은 등록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해당 기관과 송수신한다.

기관업무

기관과 일괄전송 업무를 처리할 정보를 등록한다. 기관업무 정보 등록 시 해당 일괄전송 파일을 송수신할 때 사용할 일괄전송 프로토콜을 지정한다. 일괄전송 프로토콜을 지정하면 일괄전송 프로토콜 정보에서 등록한 프로토콜의 공통헤더 레이아웃이나 각각의 전문 레이아웃이 등록하는 기관업무에서 사용할 레이아웃과 다르다면 재정의가 가능하다.

☑ 기본정보

  • 업무코드 : 일괄전송을 처리할 업무로 업무정보 화면에서 등록한 배치업무 중에서 선택한다.
  • 적용일자 : 기관업무을 적용할 적용일자를 입력한다. 입력된 일자 이후부터 업무가 처리된다. 그러므로 당일 업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일자를 입력해야 한다.
  • 전문캐릭터셋 : 대외기관과 전문 송수신 시 인코딩 및 디코딩에 사용할 캐릭터셋을 선택한다.
  • 일괄전송 프로토콜ID : 일괄전송 프로토콜 정보에서 등록한 프로토콜 중에서 해당 기관과 일괄전송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할 프로토콜을 선택한다.
  • 공통헤더 레이아웃 : 일괄전송 프로토콜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일괄전송 프로토콜 등록 시 등록한 공통헤더 레이아웃이 출력된다. 만약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지만 공통헤더 레이아웃이 다르다면 공통헤더 레이아웃을 재정의 할 수 있다.
  • 멀티채널전송여부 : 요청과 응답을 나누어서 별도의 채널로 사용할지의 여부를 선택한다.
정보

일반적으로 일괄전송에서 하나의 파일을 모두 송수신할 때까지 요청과 응답 전문을 하나의 채널을 사용하여 송수신한다. 이를 단일 채널 전송이라고 한다. 경우에 따라 특정 기관에서는 요청과 응답을 구분하여 별도의 채널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방식을 멀티 채널 전송 방식이라고 한다.

단일 채널 전송 방식으로 파일을 송수신하는 경우에 연결된 채널이 여러 개일 경우 동시에 여러 파일을 송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멀티 채널 전송 방식은 두 개의 파일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경우 기술적으로 어떤 파일의 데이터인지 구분이 불가능하므로 한 번에 하나의 파일만 처리할 수 있다.

☑ 전송자정보

일괄전송 프로토콜에 따라서 전송자 정보를 사용하는 기관은 전송자 정보를 등록해야 한다. 전송자 정보는 업무개시 전문에서 사용한다.

  • 전송자명 : 전송자의 명칭을 입력한다.
  • 비밀번호 : 전송자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DB에 저장된다.
  • 전송자검증여부 : 일괄전송 전문 수신 시 전송자 정보를 검증할 것이지 여부를 등록한다.
정보

특정 암복호화 방식으로 전송자 비밀번호 암복호화가 필요한 경우, 전송자 정보를 사용하는 전문의 전문생성 프로그램(bxi.api.BatchMessageProcess)을 작성해야 한다. 참고로 CMS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암복호화는 bxi.parser.security.CmsSecurityUtil 클래스에서 제공한다.

☑ 스케줄정보

스케줄 정보는 기관으로부터 GET 방식으로 파일을 수신할 때만 등록한다. 기관에 파일을 송신할 때는 업무시스템에서 송신 디렉토리에 파일을 저장하면 자동으로 파이을 송신 하므로 스케줄러 등록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GET 방식으로 파일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관에서 언제 파일을 송신할 수 있는지 알 수 없으므로 일정 간격으로 개시 전문을 지속적으로 전송하여 파일을 요청하도록 스케줄을 등록한다. 등록방법은 스케줄정보를 참조한다.

☑ 전문정보

전문정보는 일괄전송 프로토콜에서 정의한 일괄전송 프로토콜의 전문정보를 출력한다. 만약 해당 기관 업무에서 동일한 전문 종류이지만 전문의 레이아웃이 다르다면 전문의 레이아웃을 재정의 할 수 있다.

파일정보

기관업무에서 송수신할 파일을 일괄전송 파일 정보에서 등록한 파일 중에서 선택한다. 해당 파일은 기관업무에 등록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해당 기관에 송수신한다.

☑ 파일정보

  • 일괄전송파일ID : 일괄전송 파일정보에서 등록한 파일 중에서 선택한다.
  • 적용일자 : 일괄전송 파일을 송수신할 적용일자를 입력한다. 입력된 일자 이후부터 해당 파일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당일 파일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일자를 입력해야 한다.
  • 송수신구분코드 : 송신 파일인지 수신 파일인지 구분을 선택한다.
  • 파일중복여부 : 파일을 중복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선택한다.
  • 데이터대기시간 : 일괄전송 프로토콜에서 하나의 전문을 전송 후 다음 전문을 전송할 때까지 대기하는 시간을 입력한다. 이는 기관마다 송수신 시간이 달라 짧은 시간에 너무 많은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발생하는 전문 유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 개시전문시작구분코드 : 일괄전송 파일을 송수신 하기 위하여 개시전문을 누가 먼저 전송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 파일자동전송여부 : 일괄전송 송신 파일인 경우 전송 준비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전송할 것인지 아니면 관리자가 수동으로 전송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 데이터전송길이 : 일괄전송 파일정보에서 등록한 데이터 전송 길이와 같은 의미로 일괄전송 파일정보에서 정의한 데이터 전송 길이를 기관별로 재정의 할 수 있다. 등록하지 않으면 일괄전송 파일정보에서 등록한 전송길이를 사용한다.
  • 레코드길이 : 일괄전송 파일별 한 레코드의 길이로 일괄전송 파일정보에서 정의한 레코드 길이를 기관별로 재정의 할 수 있다. 등록하지 않으면 일괄전송 파일정보에서 등록한 레코드 길이를 사용한다.

☑ FTP정보

대외기관에 송신할 파일인 경우에 FTP 정보를 등록하면 업무시스템으로부터 FTP로 파일을 가져와 송신하고, 수신할 파일인 경우에 FTP 정보를 등록하면 대외기관으로부터 파일 수신이 완료되면 파일을 생성하여 업무시스템에 FTP로 전송한다. 특히 송신 파일에 FTP 정보를 등록하면 업무시스템으로부터 FTP로 파일을 가져와야 하기 때문에 스케줄 정보도 같이 등록해야 한다. 언제 업무시스템에서 파일을 가져와 송신할 것인지를 알 수가 없으므로 송신 파일에 FTP을 등록하면 반드시 스케줄 정보도 등록해야 한다.

  • FTP ID : FTP 정보에서 등록한 정보 중에서 선택한다.
  • FTP파일명 : FTP로 가져올 파일명을 입력한다.
  • 스케줄정보 : FTP 가져올 스케줄을 등록하는 것으로 스케줄정보를 참조한다.

4. FTP정보

FTP 정보는 일괄전송으로 송신할 파일을 업무시스템으로부터 가져오거나, 수신한 파일을 업무시스템에 전달할 때 사용할 FTP 정보를 등록한다. 또는 일괄전송 전문 방식으로 파일을 전송하지 않고 파일을 한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FTP로 전송하거나 또는 대내시스템 파일을 대외시스템으로 전송할 때 사용할 FTP 정보를 등록한다.

구성항목

☑ 기본정보

  • FTP ID : FTP을 식별하기 위한 ID를 입력한다.
  • FTP명 : FTP 명칭을 입력한다.
  • 프로토콜 : FTP 프로토콜을 선택한다. 프로토콜은 일반 FTP와 SFTP을 지원한다.
  • 포트번호 : FTP의 포트번호를 입력한다.
  • FTP IP : FTP의 접근 IP를 입력한다.
  • 사용자ID : FTP 사용자 ID를 입력한다.
  • 비밀번호 :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DB에 저장된다.

5. 스케줄정보

스케줄 정보는 사용자가 일정 간격이나 또는 특정 시간대에 처리할 스케줄을 등록 및 관리한다. 스케줄은 스케줄의 묶음인 스케줄 그룹과 각각의 스케줄로 나누어져 있다.

구성항목

☑ 기본정보

  • 스케줄 : 스케줄을 식별하기 위한 ID로 임의의 규칙에 따라 입력한다.
  • 스케줄명 : 스케줄 명칭을 입력한다.
  • 처리프로그램 : 스케줄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처리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정보 화면을 통하여 등록해야 한다.
  • 스케줄종류 : 스케줄 종류에는 'Interval'과 'Cron' 방식 중에서 선택한다.
    1. Interval : 처리간격(초)마다 반복적으로 스케줄을 실행하는 방식이다.
    2. Cron : 월일시분 등 입력한 값에 따라 스케줄을 실행하는 방식이다.
  • 스케줄시작시간(시분) : 스케줄은 스케줄 종류에 따라서 시간에 관계없이 하루 종일 실행된다. 그러나 스케줄에 따라서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설정하여 해당 시간에만 스케줄을 실행할 수 있다. 스케줄시작시간은 하루 중에서 언제부터 스케줄을 실행할 것인지 시작 시간을 등록한다. 시작시간 전에 스케줄이 실행되면 처리 프로그램은 실행되지 않는다.
  • 스케줄종료시간(시분) : 스케줄시작시간과 같은 의미로 스케줄을 하루 중 언제까지 스케줄을 실행할 것인지 종료 시간을 등록한다. 종료시간이 지나서 스케줄이 실행되면 처리 프로그램은 실행되지 않는다.

일괄전송 수동 처리

일괄전송 수동 처리는 파일을 자동으로 송수신하는 방법이 아닌 사용자가 수동으로 송수신하는 방식이다. 또는 파일 전송을 자동으로 설정했을지라도 해당 기관에 파일을 전송하다가 장애가 발생하여 더 이상 파일을 보내지 못한 경우에 전송 준비가 완료된 파일에 대해서 재처리가 가능하다.

수동 처리

실행관리 > 일괄전송수동처리 화면에서 수동 처리를 할 수 있다. 수동 처리는 송신과 수신으로 구분된다.

☑ 수동 송신

송신 준비가 완료된 파일에 대해서 송신 처리를 시작한다.

☑ 수동 수신

GET 방식 프로토콜로 파일을 수신받기 위해 개시 전문을 수동으로 요청한다.

재처리

상태모니터링 > 일괄전송처리상태 화면을 통하여 연계되는 화면인 일괄전송처리상세 화면에서 재처리를 할 수 있다.

☑ 재전송

당일 송신하는 파일을 처리하는 중에 에러가 발생하거나 또는 완료된 파일에 대해서 일괄전송 인터페이스에 "파일중복여부"가 허용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재전송 처리가 가능하다. 재전송 항목이 나타나지 않으면 해당 파일은 재전송할 수 없는 파일을 의미한다.

☑ 업무 재전송

수신한 파일은 수신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업무시스템에 전달된다. 그러나 업무팀에서 파일 처리 중에 에러가 발생하여 재전송을 요구하는 경우에 당일 파일에 한해서 업무 시스템에 재전송이 가능하다. 당일 수신이 완료된 파일에 대해서만 업무 재전송이 가능하며 항목이 나타나지 않으면 해당 파일은 업무시스템에 재전송할 수 없다.